구원의 서정6 준비 교리에 대한 올바른 주장 (6) 뿐만 아니라 청교도들은 성경의 말씀을 인용하여 준비 교리를 설명하였다. 심장을 찔러 쪼개는 것 : 그들이 이 말을 듣고 마음에 찔려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물어 이르되 형제들아 우리가 어찌할꼬 하거늘 - 행 2:37 주 여호와의 영이 내게 내리셨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사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 나를 보내사 마음이 상한 자를 고치며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갇힌 자에게 놓임을 선포하며 - 사 61:1 내 말이 불같지 아니하냐? 반석을 쳐서 부스러뜨리는 방망이 같지 아니하냐? - 렘 23:29 하나님의 말씀은 살아 있고 활력이 있어 좌우에 날선 어떤 검보다도 예리하여 혼과 영과 및 관절과 골수를 찔러 쪼개기까지 하며 또 마음의 생각과 뜻을 판단하나니 - 히 4:1.. 2022. 1. 7. 준비 교리에 대한 올바른 주장 (5) 이제 스코트랜드 장로파인 사무엘 루터포드와 윌리엄 거스리를 통하여 율법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는 청교도 회중주의 자들만이 준비 교리 즉 율법의 기능에 대하여 말한다며 그들을 부정적으로 말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윌리엄 거스리는 “율법의 예비 작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성령께서 어떻게 율법을 가지고 죄인들의 심령 가운데 역사하시는지에 대하여 “참된 구원의 확신 제 2장”에서 상세하게 말하고 있다. 청교도 회중파만아 이러한 율법의 기능을 말한 것이 아니라 그 당시 많은 신학자들과 목사들이 율법의 기능을 통하여 성령께서 어떻게 죄인들의 심령 가운데 역사하시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고 청중들은 자신의 죄를 깨닫고 하나님 앞에 엎드려 자신들의 죄를 용서해 달라는 .. 2022. 1. 7. 준비 교리에 대한 올바른 주장 (4) 오늘은 벨직 신앙고백서와 도르트 신조에서 나오는 율법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르트 신조 “셋째와 넷째 교리: 인간의 타락과 하나님께의 회심, 그리고 회심 후의 태도”의 제 5장에서는 “십계명이 죄의 비참함으로부터 인간을 치유하거나 멀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제시하지 않지만, 죄의 심각성과 그 죄악 속의 인간을 보여줌으로써 육신의 연약함으로 저주 아래 있는 인간은 이 율법만 가지고는 도저히 구원의 은혜를 얻을 수 없음을 보여준다.”다고 밝히고 있다. 즉 율법은 죄의 비참함을 알게 하며, 치유가 없다는 것을 제시한다고 한다. 그리고 죄의 심각성과 죄악 속의 인간을 보여줌으로써 인간이 얼마나 연약한 존재이며 저주 아래 있으며 도저히 율법으로 구원의 은혜를 얻을 수 없음을 알게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2022. 1. 7. 준비 교리에 대한 올바른 주장 (3) 이번 시간에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서와 대요리 문답을 통해서 율법의 기능이 어떻게 준비 교리(Doctrine of preparation)과 일치하는지에 대하여 설명 할 것이다. 우선 앞에서 기독교 강요와 하이델베르크를 통하여 율법의 기능에 대하여 말했듯이 이 부분을 잘 숙지하고 나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본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우선 대요리 문답에서 말하는 율법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자. “95문: 모든 사람에게 공통되는 도덕의 법칙의 용도가 무엇입니까? 답: 도덕의 법칙은 모든 사람에게 하나님의 거룩하신 본성과 뜻, 그들로 준행하도록 얽매는 그들의 본분에 관하여 알려주고, 그들이 그것을 지킬 수 없고 그들의 본성과 마음과 삶이 죄악으로 오염되었음을 깨닫게 하고, 그들이 자기의 죄와 비참함.. 2022. 1. 7. 준비 교리에 대한 올바른 주장 (2) 준비 교리에 대한 올바른 주장 2. 이번에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 우르시스누스의 책을 통하여 율법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어떤 목사들은 율법의 기능에 대하여 잘못 이해하고 죄의 각성에서 고통가운데 신음하며 가난한 심령으로 가는 원리를 중생이후의 것으로 생각한다. 물론 율법의 기능이 중생 이후에 역사하는 원리로 이야기하는 신학자는 제 2차 종교개혁을 통해 화란의 빌헬무스 아 브라켈이 이러한 주장을 편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청교도의 견해을 잘못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더 깊이 논하기로 하자. 오늘은 우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을 통하여 율법의 기능이 칼빈이 기독교 강요에서 주장하는 율법의 3용도와 같으며 청교도들이 주장하는 준비 교리(Doctri.. 2022. 1. 7. 준비 교리에 대한 올바른 주장 (1)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요즘 “준비 교리”에 대한 잘못된 인식 또는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교수들이나 목사들이 “준비교리”에 대하여 공격을 하기에 이 글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이 생소하게 생각하는 “준비 교리”에 대하여 조금 더 구체적으로 조금씩 밝히고자 한다. 나는 “은혜로 말미암은 준비” 책의 번역자이다. 작은 교회의 담임 목사를 하고 있다. 우선 “준비 교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츠빙글리와 칼빈이 말하고 있는 율법의 3용도를 이해해야 한다. 청교도들이 말하는 준비 교리(Doctrine of preparation)와 카톨릭 또는 알미니안들이 주장하는 준비주의(preparationism)와는 분병하게 구분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떤 목사들과 교수들은 이러한 분별없이 무조건 청교도 회중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준.. 2022. 1. 7. 이전 1 다음